시공시 참고사항

[스크랩] 견적서(내역서) 보는 방법

크레이브릭 2009. 9. 25. 22:24
  •              

 

  •  
  • 견적서(내역서)  보는  방법
  • 많은 건축주들이 견적서를 작성한 뒤 상담을 하게 되면 견적서의 표지만 본다.
  • "음.... 총 공사액이 얼마니까 평으로 나누면.... 평당 얼마이군요."
  • 모르기때문에 그런거라 생각하지만 건축주로서의 당연한 알 권리를 너무 쉽게 포기하는게 아닌가 싶어
  • 내역서를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을 해 주면 몰라도 고개를 끄덕인다거나 "알아서 해 주세요."등 여러가지 반응들이다.
  • 모르면 공부하자.
  • 아는만큼 득을 볼 것이요, 모르면 모르는 만큼 손해를 보게 될 것이다.
  •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견적서 및 내역서 보는 방법에 관해 하나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  
  • 각 업체별로 단위면적당(평) 공사금액에 따른 사양이 있다. 기초 및 골조부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마감재 및 창호의 사양에 따라 공사금액의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리고 면적이 작을수록 평당 공사비는 올라가며 상대적으로 면적이 클수록 평당 공사비는 내려가게 된다. 하지만 면적이 클수록 고사양대의 마감재를 선호하므로  현실적으로 단위면적당(평) 공사비와 면적은 비례한다고 보는게 현실적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  
  •  
  • 1.기초/가설공사
  • -공통가설공사: 공사에 필요한 전기(임시전기), 용수, 비계파이프설치 등
  •  
  • - 토공사: 터파기, 잔토처리, 되메우기,잡석다짐등-건축부분에 한함
  •                (지반 및 현장상황에 따라 토공사 부분은 다 다르므로 대부분 별도로 계약하게 된다.)
  •  
  • -기초공사: 기초방식(매트기초or줄기초) 및 기초 높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므로 시공사와 충분히 협의 후 현장 상황에 알맞는 기초
  •                    방식 및 기초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                   (기초방식, 높이에 따른 개략적 공사금액차이: 매트기초*3=줄기초,  기초높이600mm초과100mm=70~100만원)
  •  
  • 2.철골공사 및 단열재
  • -철골공사: 층수 및 구조의 난이도에 따라 차이가 남.
  •  
  • -샾드로잉: 구조도면 작성 비용
  • (이 부분에 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건축주들이 간혹 있다. 구조설계의 중요성에 관해 앞서 언급했으므로 참고하자.)
  •  
  • -단열재: 천정=R-30, 외벽=R-19, 내벽=R-11
  •  
  • 3.외장/지붕/미장및 방수공사
  • -외장공사: 외장재 선택에 따른 각종 기본 자재 및 부자재, 부속등의 수량 및 재료비, 인건비, 경비등이 기재된다.
  •  
  • -지붕공사: 지붕재 선택에 따른 각종 기본 자재 및 부자재, 부속등의 수량 및 재료비, 인건비, 경비등이 기재된다.
  •  
  • -방수공사: 액체방수 및 타르우레탄방수
  •  
  • -미장공사: 대부분의 현장에서 기포-기초난방, 방통으로 미장공사를 한다. 손미장에 비해 가격은 비싸지만 레미콘 공장에서
  •                    기계로  일정한 비율로 배합되어 나오므로 품질이 균일하며 높은 평활도를 얻을 수 있다.
  •  
  • 4.창호공사
  • -현관문: 대부분의 현장에서 "캡스톤사의 화이버 글라스 도어"가 사용된다. 단열 성능 및 디자인이 수려 하지만 디자인 및 색상에 따
  •                른 가격 차이가 크므로 예산에 맞춰 합리적으로 선택하자.
  •  
  • -내부도어: 현관중문 및 방문등
  •                     비메이져급 도어의 경우는 가격 및 품질이 어느정도 평준화 되었다고 본다.
  •                     그리고 LG-예다지일 경우(디럭스<네이쳐<천연무늬목) 2배 이상 높다고 보면된다.
  •  
  • -창문: 개폐방식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미국식<유럽식), 창틀 내부랩핑 및 LOW-E코팅 유무에 따라 20~40%정도의 차이가 난
  •            다. LOW-E코팅의 경우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으므로 한 번 고려 해 보는것도 괜찮다.
  •             단지 창호 부분 공사비 증가를 가져 오므로 가격이 부담 될 경우 남측, 동측에 면한 창문만이라도 LOW-E코팅을 하는게 어떨
  •             지....(서측과 북측에 LOW-E코팅을 권장하지 않는 이유에 관해선 별도로 글을 올리겠습니다.)
  •  
  • 5.내장공사
  • -벽마감(도배): 실크벽지가 보편화 되면서 대부분의 신축 건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합지장폭 대비 20%정도의 가격 차이로 좁혀 지면서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메이커 선호도에 따라 많은 가격 차이를
  •                           보이므로 내역서 검토 시 "어디 회사 제품"인지 꼼꼼히 확인하자.
  •  
  • -바닦마감(마루): 강화마루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신축 건물의 대부분에서 시공되어 지고 있다.
  •                               강화마루 또한 메이커 선호도에 따라 많은 가격 차이를 보이며 최근엔 온돌마루 타입의 쪽마루 형태의 강화마루도
  •                               선 보이고 있다.  온돌 마루는 강화마루보다 높은 마감 사양으로 시공되어지고 있으며 최근 신규 분양되는 아파트를
  •                               중심으로 다시 온돌 마루의 붐이 일고 있다.
  •  
  • -계단재: 꽤 많은 공사비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중의 하나이다.
  •                300만원 초반대 사양에서 대부분 미송 집성목이 사용되며  원목이냐 집성목이냐, 어떤 수종이냐에 따라 많은 가격차이를
  •                보인다. 가격은 미송<랭가스<오크 및 티크 순이며 스테인 도장(계단재에 색상을 내는 작업)유무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난다.
  •  
  • -아트월: 아트월은 "거실의 꽃"으로 불리우며 건축주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중의 하나이다.
  •                포인트 도배에서 대리석 및 기능성 타일까지 워낙 다양한 마감재가 사용되므로 상담시 어떤 사양으로 마무리 되는지 꼼꼼히
  •                체크하자.(대부분의 업체에서는 "기성품" 및 "수공품"등으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  
  • -타일: 타일의 경우 크고 화려할수록 높은 가격 차이를 보인다.
  •            유행에 민감하므로 너무 많은 색상의 타일보다는 기본 색상의 타일을 중심으로 포인트를 준다면 언제든지 리폼도 가능하다.
  •            대부분 매장에서 실물을 보고 결정을 하는데 예산에 맞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            (재료비-타일가격, 경비-타일본드 및 기타 부속, 시공비-타일 시공비)
  •  
  • -도기, 수전 금구류: 생산 업체의 인지도 및 디자인, 기능에 따라 많은 가격 차이를 보이므로 예산에 맞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  
  • -욕실 거울 및 수납장
  •  
  • -욕실 칸막이
  •  
  • -욕조: 업체마다 차이는 있지만 300만원 중반대까진 SMC 및오닉스 욕조가, 그 이후 사양대에선 월풀욕조가 들어가는게 보편적이다.
  •  
  • -보일러: 대부분의 업체에서 기름 및 가스보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며 심야보일러의 경우 별도 품목이다.
  •  
  • -조명: 단위면적 공사비에 따라 조명기기의 차이가 있으며 보통 평당3만원부터 8만원까지 다양하다.
  •  
  • 6.별도품목
  • 별도 품목에 관해 많은 부담을 느끼는 건축주가 많으나 가만히 들여다 보면 사용승인에 관련된 허가사항(조경, 주차장, 가스인입, 정화조, 상수도 인입등)이거나,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무방한 것들이다.
  • 또한 별도 품목이 견적에 포함될 경우 경비 및 기업이윤이 수반되므로 전체적인 공사비가 증가하여 오히려 건축주의 부담만 늘게 된다. 똑똑한 건축주라면 얼마든지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을 기억하자.
  •  
  • -기본 화장실(30평 이하는 1개, 45평이하 2개, 60평이하 3개)외 추가시 실당 비용.
  •  
  • -데크: 보통 오일스테인 도장까지 포함하여 평당 60만원선이나 시공 평수에 따라 달라지는게 보통이다.
  •  
  • -토목공사.,담장, 대문, 조경등
  •  
  • -각종인입비용: 상수도 인입(지하수개발), 가스배관설비(건축허가시 가스 검사 필증이 필요하다.), 계량기 설치시 한전 불입금
  •  
  • -각방 온도 조절기: 각 방에서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편리한 시스템이며 연료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심야보일러
  •                                   및 대형 평형대, 복층 구조에 권장한다.
  •  
  • -외단열: 단열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열반사 단열재를 외부 벽체에 시공한다.
  •  
  • -정화조 및 주차장 공사: 단독이냐, 오수처리 시설이냐에 따라 많은 가격차이를 보이나 최근 제도의 개편으로 일반 주택에선 단독 정
  •                                           화조 설치가 의무화 되어 건축주의 부담이 크게 줄었다.
  •  
  • -벽난로, 각종 가구류(씽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등)
  •  
  • -거실 천정 오픈: 거실 천정을 오픈 시킬 경우 별도의 비용이 추가된다.
  •  
  • -보일러실
  •  
  • -심야보일러:(심야전기 한전 불입금 포함-재료비 및 시공비는 업체별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 ⑴ 21~26평/ 심야1, 온수기300L: 600만원
  • ⑵ 27~30평/ 심야1, 온수기500L: 700만원
  • ⑶ 31~35평/ 심야1, 온수기500L: 750만원
  • ⑷ 36~40평/ 심야1, 온수기500L: 800만원
  • ⑸ 41~45평/ 심야2, 온수기500L: 900만원
  • ⑹ 46~50평/ 심야2, 온수기500L: 1000만원
  • ⑺ 51~60평/ 심야2, 온수기500L: 1100만원
  • ⑻ 60~70평/ 심야2, 온수기500L: 1200만원
  • *심야전기 인입길이 5m 기준이며 5m이상일 경우 건축주 부담
  • -토목설계 및 인허가 비용: 200~300만원(농지전용, 개발행위시)
  •  
  •  출처: 안영진의 스틸하우스   http://cafe.naver.com/selfhousing114
  •  
      •        첨부이미지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출처 : 전원사랑모임
      글쓴이 : 토지랜드 원글보기
      메모 :